Portal with RTX 게임 리뷰 : 레이 트레이싱으로 다시 태어나다

Portal with RTX 게임 리뷰 : 레이 트레이싱으로 다시 태어나다

포탈 Portal 1 게임

최근 Nvidia RTX 5060Ti 그래픽카드로 교체하면서 게임에서 지원하는 앱 중에 포탈 2가 있는 것을 보고 포탈 1을 먼저 해보고 싶어졌다.

포털 1 오리지널 게임 시작

마침 PC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라 바로 시작을 하였다. 최종 저장된 파일이 2011년 12월에 저장되었던 것이라 14년 만에 다시 해 보는 것이었다.

2009년에 스팀에서 오렌지 박스를 판매했을 당시 하프라이프 2와 같이 포탈 1이 포함된 패키지로 9.99불에 구입했던 것이었다.

그러나 포탈 1의 엔딩을 본 것은 2011년이었다. 구입 당시에는 재미를 못느꼈다가 후속작인 포탈 2를 재미있게 해서 전작을 다시 해보고 엔딩을 봤던 것이었다.

포탈 1 오리지널 게임 16챕터

기억은 나지 않지만 조금씩 하다보니 16챕터까지 오게 되었다. 여기부터 반전이 시작되는 게임이었다. 2009년 당시에는 여기까지 진행을 하지 못했다.

단순 퍼즐인 줄로만 알았기에 반전이 있는 이 챕터를 못보고 포기한 것이었다.

그런데 반전은 이번에도 있었다. 이 게임에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하는 Portal with RTX 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Portal with RTX 게임 설치

Portal with RTX 스팀 무료 다운로드

Nvidia RTX 그래픽카드 사용자에게는 스팀에서 포탈 1을 가지고 있는 경우 무료로 설치가 가능하다고 하는 것을 알았다.

생각해 보니 2022년 12월에 이 게임이 새로 출시가 되었을 때, 기사로 본 기억이 났다.

그래서 스팀을 통해 라이브러리에 넣고 게임을 설치하였다.

Portal with RTX 그래픽 옵션

게임을 설치하고 설정을 보았는 데, 오리지널 게임과 다른 부분은 없었다.

RTX 세팅

RTX Remix 옵션을 설정하려면 Alt + X 키를 눌러야 실행이 되었다.

여기에서 DLSS 설정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DLSS 효과 끈 상태

DLSS 옵션을 끈 상태로 게임을 해 보니 프레임이 확 낮아지고 버벅이는 것을 볼 수 있게 되었다.

Portal with RTX 에서 조명 효과

내 PC와 그래픽카드의 성능으로는 DLSS 3X 설정으로 4K 해상도로는 60프레임 정도가 나왔다.

레이 트레이싱 효과를 이 프레임으로 볼 수 있다는 것도 좋다고 생각되었다.

레이 트레이싱 효과

에너지볼이 움직이면서 보여주는 빛의 산란과 반사 효과등은 고전 게임이지만 새로 태어난 게임으로 인식되었다.


게임 소감

19챕터에서 배신을 당하다

19챕터를 하다 보니 예전에는 어떻게 했는 지 기억이 나지 않았는 데, 배신을 당하는 것을 겪고는 과거 게임 기억이 다시 나게 되었다.

천천히 해도 5시간 정도면 엔딩을 볼 수 있는 분량이었다.

게임에서 좋았던 점.

Portal with RTX 는 레이 트레이싱 기술을 이용해서 최근 그래픽 같은 기술 향상을 보여주었고, 매핍의 개선으로 그래픽 품질이 놓아졌다.

또한 5월 19일자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 DLSS 4 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게임을 무료로 제공하는 것도 좋았다. 개발사인 Lightspeed Studios 는 Nvidia의 자회사라고 하는 데, Nvidia의 홍보를 위한 것이겠지만, 무료로 배포하여 고맙게 느껴진다.

게임에서 아쉬운 점

DLSS 를 활성화하여 게임 진행에 문제는 없지만, 조작에는 약간의 문제가 있었다. 제동에 문제가 있었는 데, 앞으로 달리다가 급제동이 걸리지 않고 약간 미끄러지는 동작이 자주 있었다.

그로 인해 제동이 되지 않아 물에 빠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다른 평가에서는 3050 이하에서는 DLSS를 켜도 느리다고 하는 것을 봐서는 시스템 요구 사양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총평

Portal with RTX 는 과거 밸브의 고전 게임을 레이 트레이싱 기술로 다시 태어난 게임으로 새로운 재미를 준 게임이다.

RTX 기술을 오리지널 게임이 같이 하면 확연히 변화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단, 내 컴퓨터 사양에서도 약간의 문제가 있어서 제동에는 불편을 줄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사양이 필요하다.


게임 내 인상적인 장면

의문의 메시지들

게임에서 여기 저기 보이는 낙서들. 이 낙서들을 처음 게임을 했을 당시에는 못보았다. 16챕터에서 처음 등장하는 데, 그 이전에 단순 반복 퍼즐 게임으로 인식해서 게임을 중단하였기 때문이었다.

Nvidia 4090 광고

오리지널과 다른 비밀의 공간에서 나오는 4090 그래픽카드이다. Nvidia에서 제작한 것이라 그래픽카드 홍보를 이렇게 하였다.

QR 태그도 다양하게 있는 데 이를 스캔하면 따로 링크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고 검색을 유도한다.

마지막 미션

마지막 글레이도스 GLaDOS 와의 전투 챕터이다. 예전에 어떻게 공략했는 지 기억이 나지 않아 조금 헤맸다.

정확히는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제동 버그 때문에 정확한 움직임이 안되어 고생한 것이었다.

엔딩 장면

엔딩 장면은 기억이 났다. 문제는 2편의 엔딩하고 기억 오류가 난 것이었지만. 이 장면이 2편의 엔딩인 줄로 알았다.

Portal with RTX 엔딩 케이크 장면

케이크는 거짓말이라고 적혀 있는 낙서와는 다르게 엔딩에서 케이크를 보여주는 데, 이 장면에서도 레이 트레이싱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오리지널과는 다른 느낌을 볼 수 있다. 오리지널 게임 장면은 하단의 관련 자료에서 볼 수 있다.

Portal with RTX 엔딩 크레딧 음악

그리고 오랜만에 다시 듣게 된 엔딩송.

GLaDOS 성우의 목소리로 부르는 노래인데, 가사는 감동이 없지만 노래는 재미를 주는 곡이었다. 은근히 다시 듣고 싶어지는 곡이랄까.


추가정보

게임정보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012840/Portal_with_RTX

Loading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