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작품을 영화로 만든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기에 쉽게 제작을 하지 못한다. “오페라의 유령”은 뮤지컬로 브로드웨이에서 1986년부터 공연하고 있는 것이고 음반 및 원작 소설을 통해서도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더 보기]
영화 감상 후 리뷰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작품을 영화로 만든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기에 쉽게 제작을 하지 못한다. “오페라의 유령”은 뮤지컬로 브로드웨이에서 1986년부터 공연하고 있는 것이고 음반 및 원작 소설을 통해서도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더 보기]
일본 소년 챔프에 연재를 했던 “타즈키 타카하시”의 코믹을 원작으로 하여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작품이다. TV시리즈로도 제작하여 일본내에서 방영하고 한국에서도 아동들에게 인기를 끈 작품이다. 극장판답게 원작 시리즈의 내용이 아니라 원작 완결… [더 보기]
호주의 비극적인 사건을 전설화시켜서 영화로 만든 작품이다. 무대를 호주에서 미국의 가상의 도시로 옮긴 것 외에는 호주의 한 시골의 마틸다 딕슨이란 여인의 비극적인 전설을 모티브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라면 한풀이를 해주어… [더 보기]
1973년 공포영화의 신기원을 이룩한 윌리엄 프레드킨의 “엑소시스트” 시리즈의 4번째 작품이다. 악마의 존재에 대한 물음과 신의 존재, 그리고 카톨릭의 퇴마의식인 엑소시즘에 대해 일반 대중에게 최초로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게 한 영화였다. 공포영화로써도 대단하지만… [더 보기]
무협지를 읽은 사람이면 신투(神偸)나 공공문(空空門)이란 단어를 알 것이다. 도둑을 일컫고 도둑들의 집단을 뜻하는 데 이 영화가 바로 현대를 배경으로 신투와 공공문의 강호를 그려내고 있다. 영화에서 신투니 문주니 하는 말을 한다는… [더 보기]
화면 예술의 미장센이란 칭찬을 받는 천재감독 “알렉스 프로야스”의 2번째 작품이다. 명성에 비해 영화 작품은 적은 감독이다. 국내에는 2004년 개봉한 “아이 로봇”으로 인해 제대로 알려지기 시작했다.20세기초 도시 산업화 시기를 연상시키는 음울한… [더 보기]
영화에 대한 시놉시스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영화의 태그라인인 “못생긴 것이 죈가요?”라는 문구로 연상되는 것은 외모 지상주의 시대에 남자의 외모를 다룬 영화로 다양한 에피소드들이었다. 그러나 이 영화는 그렇게 외모 지상주의 세태를… [더 보기]
“위대한 유산”, “시실리 2Km”등 2004년에 활발하게 활동을 한 임창정이 이제는 공동주연이나 다양한 주조연급과 공연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독자적으로 영화를 이끌어내는 단독 주연의 영화를 찍었다. 그만의 독특한 페이소스가 묻어나는 코메디영화로 이전… [더 보기]
스릴러 영화의 묘미는 영화속에 내재되어 있는 많은 단서들을 조합하고 추론하여 최후의 해결점을 찾아내는 주인공의 긴장감을 같이 하는 것이다. 거기에 마지막 뜻밖의 반전이 곁들여 진다면 더할 나위가 없다. 그러한 점에서는 이… [더 보기]
오타쿠들의 집단 가이낙스에서 제작한 “에반게리온”은 오타쿠의 세계를 대중적인 영역으로 넓힌 작품이었다. 그러나 상업적인 속성또한 내재되어 있어 상업 애니메이션의 정형화된 포맷이 존재하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이 작품은 어찌보면 순수한 오타쿠작품으로… [더 보기]